카테고리 없음
저출산·고령화로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기업 10곳 중 8곳은 정년 연장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깨
2024. 10. 21. 14:48
입력 2024.10.21. 10:33업데이트 2024.10.21. 13:45
저출산·고령화로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기업 10곳 중 8곳은 정년 연장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곳 8곳 “정년 연장 긍정적”
채용 플랫폼 사람인은 기업 461개사를 대상으로
‘정년 연장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79.8%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고 21일 밝혔다.

그 이유로는 ‘숙련 근로자의 노하우 활용이 가능해서’가
57.9%(복수응답)로 첫 번째로 꼽혔다.
다음으로 ‘고령자들의 생활 안정성이 커져서’(39.7%),
‘생산 인구 감소에 대비할 수 있어서’(34.2%),
‘구인난이 심한 업직종에 지원자가 증가할 것 같아서’(31.8%),
‘고용 안정성 증가로 직원의 사기가 올라서’(24.2%) 등 순이었다.
정년을 연장할 경우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나이는 평균 65.7세로 나타났다.
‘65세가 적당하다’는 응답이 57.9%로 절반을 넘었고,
이어 ‘70세 이상’(13%), ‘63세’(7.6%), ‘69세’(6.3%), ‘68세’(4.3%), ‘64세’(3%)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정년 연장이 부정적이라고 답한 기업은
그 이유로 ‘청년·신규 일자리 창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44.1%·복수응답),
‘고령자 인사 적체로 기업문화에 악영향’(41.9%),
‘기업 분위기가 보수화’(35.5%),
‘60세 정년도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30.1%),
‘고령자들이 너무 오랫동안 일하게 되어서’(18.3%) 등을 꼽았다.
◇절반 이상이 “5060 직원 채용 생각 중”
아울러 5060세대 ‘영시니어(중장년층)’ 직원 채용을
생각 중인 기업도 절반을 넘었다.
전체 응답 기업의 52.9%가 5060세대 영시니어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는 ‘경력, 인적 네트워크 등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커서’(47.1%·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젊은 층이 지원을 꺼리는 업종이어서’(30.3%),
‘고용 유지가 잘 되어서’(28.7%),
‘일반 채용 시 지원자가 너무 적어서’(21.7%),
‘중장년 일자리 창출에 동참하기 위해서’(15.2%) 등의 답변도 있었다.
영시니어 직원을 채용하고자 하는 직무는
‘제조·생산’(40.2%·복수응답),
‘전문직’(21.7%),
‘서비스’(21.3%),
‘영업·영업관리’(15.2%),
‘기획·전략’(6.1%),
‘연구·개발’(5.3%)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