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연금 놔두면 경제 파탄” 현 제도선 30년 후 기금 고갈
자식·손자 멱살 잡고 싸우며 “86 할배들 먹튀” 원망할 것
與野 모두 개혁 약속한 상태… 정부案 고집하다 실기할 수도

김창균 논설주간
“폭증하는 연금 부채가 한국 경제를 파탄으로 몰아 간다.
2050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이다.” 얼마 전 날아 든 IMF의 경고다.
보건복지부는 “하루 885억원씩 연금 부채가 늘어난다”고 했다.
2007년 노무현 정부가 발표했던
“매일 800억원씩 증가”보다 85억원 불어난 액수다.
국민연금은 현행 제도 그대로 가면 2056년에 기금이 모두 소진된다.
2057년부터는 연금 가입자가 소득의 28%(보험료)를 내야 한다.
2075년이 되면 36%로 부담이 더 커진다.
현재 내는 돈 9%의 무려 4배다.
은퇴 후 받는 돈(소득대체율)은 지금과 똑같이 40%인데도 그렇다.
왜 이런 불공평한 일이 벌어지나.
연금이 처음 도입될 때 가입 독려를 위해
‘덜 내고 더 받는’ 구조로 설계됐기 때문이다.
1988년 연금 출범 때 사회생활을 시작한 필자 같은 86세대들이
그 혜택을 가장 많이 누리게 된다.
받는 돈이 낸 돈의 두 배라고 한다.
먼저 받는 사람들이 자기 몫 이상 챙기니
나중 받을 사람들은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30년 후 기금이 바닥나면 그때부터 연금 가입 대상인
손자 세대들은 “안 내고 안 받겠다”며 거부할 것이다. 합리적인 선택이다.
반면 그때까지 연금을 붓고 은퇴하려는 자식 세대들은
“내가 낸 몫을 달라”고 아우성치게 된다.
그때까지 비교적 풍족한 연금을 받아 쓴 86 세대들은
빚더미에 파묻혀 내전을 벌이는 후손들로부터
“뻔뻔한 할배들”이라는 원망을 듣게 될지 모른다.
그때까지 생존해 있다면 말이다.
‘덜 내고 더 받는’ 구조로 출발한 원죄 때문에 발생하는
는 이 문제를 바로잡으려면 “더 내고 덜 받는” 개혁을 하는 수밖에 없다.
인기 없는 정책이지만 미래의 재앙을 막으려면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