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1명(22.3%), 3명(6.7%), 0명(6.1%), 4명 이상(1.2%) 순이었다. 19∼49세 남녀를 배우자 여부 기준으로 나눠 물은 결과,
배우자가 있는 이들은 18.0%만 출산 계획이 있다고 답했고,
이들이 계획한 자녀 수의 평균은 1.25명이었다.
반면 배우자가 없는 이들은 출산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이 63.2%에 달했다.
계획한 자녀 수는 1.54명으로 배우자가 있는 이들보다 많았다.
3년간 출생아 수는 줄었지만, 결혼 의향을 가진 이들의 비율은 상승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결혼 의향이 있다는 응답률은 62.2%로, 직전인 2021년 조사 당시(50.8%)보다 11.4%포인트(p) 올랐다. 결혼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률은 2021년 23.9%에서 지난해 19.4%로 4.5%p 내렸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결혼 생각이 없다는 비율도 같은 기간 11.9%에서 6.7%로 줄었다. 결혼 생각이 없다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현재 삶에 만족하기 때문'(58.4%)이라는 답을 가장 많이 택했다.
'돈이 없어서'(11.4%), '적합한 배우자를 만나지 못해서'(10.2%)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결혼은 출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저출생 해소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게티이미지뱅크
여성의 경우 현재 삶에 만족해서 결혼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이 63.4%로,
남성보다 9.5%p 높았다. 남성은 돈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17.0%로, 여성보다 10.9%p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