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힘으로
조선 중기 화가이자 문인인
신사임당이 아이 일곱을 낳고
기를 적에 남편 이 원수는 집안을 돌보기는커녕,
친구들과 어울려 놀며 돈을 펑펑 쓰기 바빴다.
시가 농사도 흉년이라 집 곳간까지 텅텅 비자
종이 사임당에게 조심스레 말했다.
“마님, 내일 아침에 밥을 지을 쌀이 없습니다.
쌀을 살 돈도 없고요.”
사임당은 부엌으로 가 쌀독을 열어 보고는 고민에 빠졌다.
남편의 친구들 중에는 높은 벼슬을 하거나 부자인 이도 있었다.
하나 사임당은 고개를 저었다.
그렇게 얻은 쌀은 훗날 갚아야 할 빚이 될 터이며,
혹여 그들이 되돌려 받지 않겠다고 한들
마음 한구석에 짐처럼 남을 것이 분명했다.
사임당은 종을 불러 물었다.
“김대감 댁 아가씨가 얼마 후에 혼사를 치른다고 했더냐?”
“예, 그런 줄 아옵니다.”
“그럼 김 대감 댁에 가서 마님이랑 아씨의 옷가지를
지었냐고 여쭈어 보고, 만약 짓지 않으셨다면
내가 짓겠다고 전해라.”
“마님께서요?” 종은 놀라 되물었다.
당시 양반 집 마님이
손수 삯바느질을 하는 일은 좀처럼 있을 수 없었다.
사임당은 단호한 목소리로 답했다.
“남의 것을 거저 얻어먹는 것이 흉이지, 내가 내 힘으로
일을 하는 것이 어찌 흉이란 말이냐.”
그 말에 감탄한 종은 곧장 김 대감 댁으로 달려가
일감을 얻어 왔고, 사임당은 초롱불 아래 밤새며 옷을 지었다.
그렇게 사임당은 빈궁한 살림을 해결했다.
출처 : 월간 좋은 생각 이규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