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는 이야기

그 말이 사랑하는 자녀들에게 큰 상처로 남아있지 않게 하기위해서……

부깨 2018. 1. 11. 16:08

자녀에게 해서는 안되는 말


 

자녀에게 해서는 안되는 말 


 

 

 

사람이 살아가면서 해서는 안 될 말이 있습니다.

 

말 한 마디가 상대에게 비수가 되어

평생 가슴에 안고 사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화난 상태에서 자신도 모르게 튀어나오는 말 때문에,

상대방에게 큰 상처를 입을 수도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자녀들에게 있어 일상 중에서 쉽게 내뱉어 버리는 말 중에는

하지 말아야 할 말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말이 사랑하는 자녀들에게 큰 상처로 남아있지 않게 하기위해서……

 

 

 

첫째, 자존심에 상처를 입히는 말 

 

"그러고도 니가 남자니?",


"쓸데없는 녀석 같으니라고"


"네 주제에……",


"우리 애는 못나서요.",


"오빠는 남자잖아, 어디서 말대꾸야?",


"넌 심부름 하나 제대로 못하니?"


 

 

 

둘째, 자율성을 해치는 말

 

"아무 말 말고 시키는 일이나 해",


"엄마 말이 맞아 이 녀석아, 네가 무얼 안다고……",


"그 옷은 네게 어울리지 않아",


"더 먹으라니까. 한 번만 더 반찬 투정을 하면 다신 밥 안 줄 거야."

 

 


 

셋째, 자신감을 없애는 말

 

"넌 정말 구제 불능이구나",


"이 바보야 그것도 몰라",


"넌 누굴 닮아서 그 모양이냐?",


"넌 이것밖에 못하니?",


"네가 한두 살 먹은 어린애냐?"

 

 

 

넷째, 불안에 빠지게 하는 말 

 

"실패하면 절대로 안 돼",


"너 같은 애는 엄마 자식이 아니야",


"놔두고 가버릴 거야",


"말 안들을 거면 없어져 버려",


"내가 너 때문에 못살아"

 

 

 

다섯째, 의욕을 상실하게 하는 말

 

"커서 뭐가 되려고 그러니?",


"네가 웬일이니, 공부를 다 하게",


"너희 선생님은 왜 그러니?",


"만날 뭘 또 사달래"


"조그만 것이 멋만 부리지 말고 공부 좀 해라, 공부 좀…"

 

 

 

여섯째, 부담을 주는 말

 

"엄마한테는 너밖에 없어, 그러니 너는 절대로 그래서는 안 돼",


"다 널 위해서야. 그러니 너는 시키는 대로 해라!"


"너는 왜 그렇게 밖에 못하니?",


"좀 큰 포부를 가져 봐"

 

 

 

일곱째, 창조성을 없애는 말

 

"네가 뭘 안다고 그래",


"그런 건 크면 다 알게 돼"


"난 지금 바빠 물어보지 마",

"쓸데없는 짓 하지 말고 공부나 해"

 

 


 

 

 

- 좋은 글 중에서 -